아파트 용적률 & 건폐율, 얼마가 적당할까?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분양

아파트 용적률 & 건폐율, 얼마가 적당할까?

by 돈포메이션 2025. 2. 14.

아파트를 고를 때 용적률과 건폐율을 보면, 그 단지가 얼마나 쾌적하고 살기 좋은지 예측할 수 있는데요. 같은 평수의 아파트라도 밀집도와 녹지 공간 차이로 인해 실제 거주 환경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용적률과 건폐율이 무엇인지, 그리고 얼마나 적당한지 알아볼까요? 😊

 

아파트 용적률 & 건폐율, 얼마가 적당할까?

 

 


1. 용적률과 건폐율이란?

📌 용적률(容積率, Floor Area Ratio, FAR)

건축물의 연면적(전체 면적) ÷ 대지면적 × 100(%)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을 얼마나 높게(큰 규모로) 지었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예시

  • 용적률 200% → 1,000㎡ 대지에 연면적 2,000㎡ 건물 건축 가능 (예: 10층 건물에 각 층 200㎡)
  • 용적률 300% → 1,000㎡ 대지에 연면적 3,000㎡ 건물 건축 가능 (예: 15층 건물에 각 층 200㎡)

 

📌 건폐율(建蔽率, Building Coverage Ratio, BCR)

건축면적(건물이 차지하는 바닥면적) ÷ 대지면적 × 100(%)
대지 위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뜻함

 

💡 예시

  • 건폐율 50% → 1,000㎡ 대지에 건물 바닥 면적이 500㎡ 차지
  • 건폐율 30% → 1,000㎡ 대지에 건물 바닥 면적이 300㎡ 차지

 

즉, 용적률이 높으면 건물이 많아지고, 건폐율이 낮으면 공원·녹지 공간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음!

 

 


2. 용적률 & 건폐율, 얼마가 적당할까?

🏙 아파트 단지를 볼 때 적정한 기준을 살펴보면,

 

📌 용적률

150~250% → 저밀도 & 중층 아파트 (쾌적한 주거환경)
250~300% → 일반적인 신축 아파트 (적당한 밀도)
300~400% → 초고층 주상복합 (높은 밀도로 주거 쾌적성 낮을 가능성)

 

📌 건폐율

10~20% → 녹지 공간이 넉넉한 저밀도 단지 (고급 아파트에 많음)
20~30% → 주거 쾌적성과 생활 편의성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의 수준 (일반적인 아파트)
30~50% → 편의시설이 많지만 건물 밀집도가 높은 구조 (초고층 주상복합)

 

💡 일반적으로 용적률은 250% 이하, 건폐율은 10~30% 수준이면 쾌적한 주거 환경을 기대할 수 있어요!

 

 


3. 건폐율은 무조건 낮을수록 좋은 걸까?

💡 건폐율이 낮으면?

녹지 공간과 공원이 많아지고, 개방감이 좋아짐
단지 내 산책로·휴식 공간 확보 가능
동간 거리가 멀어져 조망권과 일조권이 확보됨

 

⚠️ 하지만, 건폐율이 너무 낮으면?

🚧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면서 단지 내 이동 거리가 멀어질 수 있음
🚶‍♂️ 편의시설(마트, 상가, 커뮤니티 센터 등)이 부족할 가능성
🛗 주차장, 엘리베이터 배치 등에서 불편함 발생 가능

 

건폐율이 너무 높으면?

🏢 건물이 빽빽해져 일조권·조망권이 나빠질 가능성
🌳 녹지 공간이 부족해 쾌적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주차 공간이 협소할 가능성 있음

 

📌 결론적으로 건폐율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불편함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10~30% 수준이 가장 적당한 이유!

 

※ 관련 글

 

아파트 주차대수, 세대당 몇 대가 적당할까?

아파트를 선택할 때 주차 공간이 얼마나 확보되어 있는지도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죠. 특히 주차대수 부족 문제는 거주 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얼

eun-hwang.tistory.com

 

 


4. 용적률 & 건폐율이 주거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용적률이 너무 높으면?

  • 건물이 밀집해 일조권·조망권이 제한
  • 주차 공간 부족 & 생활 인프라 밀집으로 거주 만족도 저하

 

건폐율이 너무 높으면?

  • 녹지공간, 공원, 산책로 부족 → 아이 키우기 불편
  • 단지 내 공간이 답답하게 느껴질 가능성 있음

 

용적률·건폐율이 적절하면?

  • 넓은 녹지 공간 & 여유로운 단지 설계 가능
  • 주거 쾌적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집값 상승 가능성 높음

 

 


5. 좋은 아파트를 고르기 위한 체크리스트

용적률 250% 이하인지 확인하기 (밀집도 체크)
건폐율 10~30% 수준인지 체크 (공원, 녹지 비율 확인)
단지 내 조경·공원·커뮤니티 시설이 충분한지 살펴보기
조망권, 일조권이 확보될 수 있는 동 배치인지 확인

 

※ 관련 글

 

로얄동을 찾는 5가지 핵심 기준

아파트를 살 때 같은 단지라도 더 좋은 동이 있다는 얘기,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바로 로얄동이죠. 로얄동은 조망, 통풍, 구조, 거래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동

eun-hwang.tistory.com

 


📌 결론: 용적률 & 건폐율, 이렇게 선택하면 좋아요!

🏡 쾌적한 주거 환경을 원한다면?

용적률 250% 이하 & 건폐율 10~30% 수준이 적당

 

🏙 도심 초고층 & 편의시설 중심이라면?

용적률 300~400% & 건폐율 30% 이상

 

📌 아파트 선택 시, 단순히 건물 외관만 볼 게 아니라 용적률과 건폐율도 꼭 확인해보세요!
주거 환경이 쾌적해야 살면서도 편하고, 장기적으로 가치도 올라가겠죠? 😊✨

 

 


부동산 관련 글

 

로얄동을 찾는 5가지 핵심 기준

아파트를 살 때 같은 단지라도 더 좋은 동이 있다는 얘기,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바로 로얄동이죠. 로얄동은 조망, 통풍, 구조, 거래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동

eun-hwang.tistory.com

 

로얄층을 찾는 4가지 핵심 기준

아파트를 고를 때 로얄층이 어디인지 아는 건 정말 중요한데요! 같은 동, 같은 평수라도 층수에 따라 채광, 조망, 소음 등 거주 만족도가 크게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어떻게 하

eun-hwang.tistory.com

 

LTV 계산기, DTI 계산기, DSR 계산기

LTV, DTI, DSR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 집 마련을 위해서라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려고 할 때 대출 신청자는 대출 한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한 번쯤은 LTV, DTI, DSR을 들어보셨을

eun-hwang.tistory.com

 

체증식 분할상환 [계산기, 계산법, 그 외 상환방법 등]

체증식 분할상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상환방식은 대출 초기에는 원금과 이자를 적게 갚다가 나중에 벌이가 늘어날 때쯤 더 많이 갚는 방식인데요. 본문 글에서 계산기, 계산법, 그 외

eun-hwang.tistory.com

 

청약가점 계산기(주택청약 가점제) 이용방법 총정리

청약가점 계산기(주택청약 가점제)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약가점(주택청약 가점) 계산은 청약홈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본문 글에서 어떻게 확인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eun-hwang.tistory.com

 

 

- 2차 수정, 무단 도용, 불펌을 금지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