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차이, 장단점, 동시사용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저장 기반의 새로운 인증서이며, 공동인증서는 기존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로 명칭만 변경이 되었는데요.
본문 글에서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동시사용 가능여부 내용까지 빠르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 차이 ]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는 크게 5가지 차이점이 있는데요. 아래에서 빠르게 살펴보겠습니다.
1. 발급기관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에서만 발급이 가능한데요. 금융기관에서 인터넷 뱅킹과 본인인증으로 인증받은 후, 금융결제원에서 등록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공동인증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6개 공동인증기관에서 받을 수 있고,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사업자용과 개인용으로 나뉩니다.
- 금융인증서 : 금융결제원 (바로가기)
- 공동인증서 : 한국인터넷진흥원(바로가기), 금융결제원(바로가기) 등 6개 지정기관
2. 인증서 보관
금융인증서는 개인이 보관하지 않고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 서버에 있어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에 반해 공동인증서는 사용자가 직접 보관해야 하는데요. PC, 휴대폰 등 기기가 다양합니다. (인증서를 다른 장치로 내보내거나 복사도 가능)
상황에 따라 여러 장치에 동시에 저장이 가능하지만 그만큼 분실이나 도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 금융인증서 :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 공동인증서 : 사용자 기기(PC, 스마트폰, USB 등)
3. 유효기간
금융인증서는 유효기간이 3년인데요.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갱신되서 편리합니다.
이에 반해 공동인증서는 매년 한 번씩 갱신해야 합니다.
- 금융인증서 : 3년(자동갱신)
- 공동인증서 : 1년(수동갱신)
4. 비밀번호 포맷
금융인증서의 비밀번호는 6자리 숫자로 설정할 수 있는 반면, 공동인증서는 영문+숫자+특수문자를 혼합하여 암호 10자리를 설정해야 합니다.
- 금융인증서 : 6자리 숫자
- 공동인증서 : 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
5. PC 보안 프로그램 설치
금융인증서는 PC 보안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지만 공동인증서는 보안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금융인증서 : 불필요
- 공동인증서 : 필요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 장단점 ]
위에 정리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를 봐서는 금융인증서가 여러모로 편할 것 같은데요. 금융인증서도 단점이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는 아직까지 은행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직 금융인증서를 도입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이죠.
다만 최근 저축은행, 한국부동산원 등에서 금융인증서를 도입하며, 앞으로 금융인증서 사용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그에 반해 공동인증서는 대부분의 은행, 공공기관, 정부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 동시사용 ]
앞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두 인증서는 독립적인 존재인데요. 따라서, 금융인증서를 쓰면서 공동인증서도 같이 쓰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특히 아직까진 금융인증서를 지원하지 않는 곳이 있기 때문에 그럴 땐 공동인증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동시사용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좋은 일이니 동시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일상에 도움이 되는 글 (Click!)
비상금대출 중복으로 이용하는 방법
비상금대출 중복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비상금대출 상품은 취급하는 은행이 있고 없기도 한데, 은행마다 보증을 서는 주체가 다소 상이하기 때문에 중복으로 이용이
eun-hwang.tistory.com
4세대 실손보험 [보장내용, 장단점, 전환방법 등]
4세대 실손보험 보장내용, 장단점, 전환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지난 21년 7월 이후 실손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해당되는데요. 본문 글에서 보장내용을 포함한 장점, 단
eun-hwang.tistory.com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해 5월 20일부터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으려면 신분증이 필요한데요. 핸드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있으면 신분증이 없을 때도 진료가
eun-hwang.tistory.com
질병퇴사 실업급여 받는 방법
질병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은 종류가 다양한데요. 그중 질병퇴사 실업급여는 조건이 까다롭고 근로자 분이 챙겨야 할 서류가 많습니다. 본
eun-hwang.tistory.com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조건, 나이, 장단점 등]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조건, 나이, 장단점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도 수령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본문 글에서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방법을 포함한 조건 등에
eun-hwang.tistory.com
- 2차 수정, 무단 도용, 불펌을 금지합니다.
'기타 및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설치방법, 비밀번호 설정, 초기화 등] (0) | 2025.01.20 |
---|---|
국민카드 해지 방법 [모바일, 전화번호, 연회비, 취소 등] (1) | 2025.01.06 |
헌혈확인증명서 [발급방법, 암호, 활용 등] (1) | 2024.11.29 |
나무의사 자격증 [응시자격, 양성기관, 시험일정 등] (3) | 2024.10.05 |
나무의사 자격증 [ 응시자격, 연봉, 전망 등 ] (2) | 2024.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