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바이오(대표이사 노광)가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고 8월 19일 밝혔습니다.
오늘은 '선바이오 공모주'에 대한 기본 정보를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부적인 내용 확정 시 '선바이오 핵심 내용 총정리' 편에서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선바이오 공모주 [기업 소개]
지난 1997년 설립된 선바이오는 국내 유일 페길레이션(PEGylation) 기술 개발 및 응용 바이오기업으로, 페길레이션 기술은 PEG유도체 소재를 목표 물질 표면에 화학적 공유결합으로 부착해,목표 물질 효과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혈중 반감기 증가,면역반응 및 항원성 감소,독성 완화,구조적 안정성 향상 등 효과를 목표 물질에 적용할 수 있는데요.
선바이오에 따르면 PEG유도체를 직접 개발해 200여 가지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GMP 인증 생산시설 및 DMF(원료의약품 등록제도) 등록을 통해 PEG유도체 품질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페길레이션 전문 파이프라인도 구축하고 있는데요. 인도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Intas Pharmaceuticals Ltd.)와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기술이전 및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미국 FDA에서 시판 승인을 받은 구강건조증 치료제(MucoPEG)는 해외 기술이전을 위한 미국 비교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상장 이후 페길레이션 기술을 응용한 인공혈액, 연골활액 충진제 , 통풍치료제 개발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 선바이오 공모주 [기업 개요]
• 종목명 : 선바이오
• 업종 : 의약품 제조업
• 대표자 : 노광
• 본점 소재지 :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 95
• 홈페이지 : www.sunbio.com
3. 선바이오 공모주 [공모 정보]
선바이오의 주당 공모 희망 밴드는 1만4000원 ~ 1만6000원이며 공모예정금액은 86억~99억원입니다.
• 총공모주식수 : 616,000 주
• 액면가 : 500 원
• 상장공모 : 신주모집 : 616,000 주 (100%)
• 희망 공모가액 : 14,000 ~ 16,000 원
• 공모금액 : 8,624 (백만원)
• 주간사 : 하나증권
4. 선바이오 공모주 [청약 일정]
선바이오 상장 이후에는 페길레이션 기술을 응용한 인공혈액, 연골활액 충진제, 통풍치료제 개발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수요예측일 : 2022.09.05 ~ 2022.09.06
• 공모청약일 : 2022.09.13 ~ 2022.09.14
• 배정 공고일(신문) : 2022.09.16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 납입일 : 2022.09.16
• 환불일 : 2022.09.16
• 상장일 : 미정
5. 선바이오 공모주 [재무 정보]
선바이오는 성장성 특례상장 기업임에도 보유한 기술을 통한 꾸준한 매출을 확보해 3개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PEG유도체 판매와 기술이전에 따른 로열티 수취를 통해 지속적으로 매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100억, 34억원을 기록했으며 향후 사업 다양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익이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Click!)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공모주 청약방법
아파트만 청약이 있는 줄 아셨죠? 주식도 청약이 있습니다. 요새 주변에 많은 분들이 공모주를 하고 있는 것 같은데 나도 해야하나? 라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공모주가 무엇인지에서 부
eun-hwang.tistory.com
- 본 글은 공모주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2차 수정, 무단 도용, 불펌을 금지합니다.
'주식, 공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비 공모주 청약 핵심내용 확인하기 (0) | 2023.01.31 |
---|---|
스튜디오미르 공모주 청약 [ 상장일, 수요예측 등 ] (0) | 2023.01.21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공모주] 기본 내용 미리보기 (0) | 2022.08.22 |
[쏘카 공모주] 기본 내용 미리보기 (0) | 2022.06.27 |
[공모주 청약] 넥스트칩 공모주 핵심 내용 총정리 (0) | 2022.06.20 |
댓글